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재미한인사회 어제 오늘
1901년 의친왕 이강의 유별난 유학생활
<기획연재> 뜻으로 본 미주한인 이민125년사
기사입력: 2009/05/02 [23:09]   honaminworld.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박성모
이민 전기 우리가 주목하게 되는  유학생들 중의 하나는  1901년 고종 황제의 셋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이다. 1877년 14세에 의화군에 책봉되고   1894년 17세 때 보빙사로 일본에 다녀온 이강은 다음 해에 영독불과 러시아 이태리 오스트리아 등 유럽을 순방하고 1887년에는 미국에도 잠시 방문한 바 있다. 22세 되던 1899년에  의친왕에 책봉되면서 그는 고종 황제에게 미국유학을 간청하여 마침내 윤허를 얻고 24세 되던1901년에 오하이오 주의 웨슬리안 대학에 입학하게  되었다.(그 때  이 대학에는 다음에 논하게 될 개화여성으로 이미 화제가 되던 이화학당 출신  하란사가 재학하고 있었다. 이강은 그녀와 친하게 지내고 있어 혹 이성의 친구로 화제가 되기도 했으나 고종 황제가 이 두 유학생들에게 1882년 한국과 미국이 맺은 조약 원문을 찾아 이를 미국 대통령에게 보이며 외세의 침략이 있을 때에 미국이 한국을 돕는 약속 이행을 요청하려는 밀명을 주었기에 원본은  찾지 못했으나 이들은 가까이 지냈다. ) 

의친왕 이강은 얼마 후 수행원과 함께 김규식이 유학하던 버지니아 주의 로노크대학으로 옮겨 왔다. 그는  본국에서 송금하는 연 4,000달러로 호화스런   유학생활을 하며 대학  근처의 사교계 특히 여학생들에게 관심거리요, 때로 여러 여성들과의 로맨스만이 아니라 술좌석에서 여자 때문에 취중의 실수로 몰매를 맞기도 했다는 풍문이 들리기도 했다. ‘대동단실기’에는 다음 같은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나온다: “그의 미국 생활은 유족한 것이었다. 왕실에서 보내주는 연 4천 달러의   학비로 그는 대한제국의 왕자로 부족함이 없었다. 이곳의 생활은 공부보다는 여자와 유람이 그에게 있어 더 큰 즐거움이었다. 5년 동안 미국에 머물면서 그는 네 여자를 사랑했고 조끼 달린 정장만 87벌을 갖춘 채 사치스런 생활을 했다. 때로는 부도 수표를 발행하여 법정으로 비화되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그의 생활의 이면에는 조국에 대한 우수와 모성애에 대한 그리움이 깔려 있었다”고 전한다.(조종무, 상기서, p.130에서 중인). 이런 에피소드는 뉴욕타임즈지 (7/9/1905일자)도 ‘한국의 왕자에 인기 집중’이라는 제하의 보도에서 그는 막 개관한 프린수 호텔의 영예스런 고객이 되었다며, 1905년 7월8일의 무더운 여름 날에는 애틀랜틱 시티를 방문, 보드워크를 걸으며 비치에 누워있는 미녀들을 열심히 구경했다고도  전한다.

나라를 잃고 국내외의 모든 한민족이 일제에 신음하던 시기에 미국 유학의 특전을 가진 그가 미국에서 보인  유학생활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어찌보면 오늘 날 재벌의 자녀들이 유학 명목으로 미국에 머물며  호화롭고 허랑방탕한 생활을 하여 오히려 성실한 재미2세들에게 핀잔의 대상이 되는 것과 유사하여 삼가하고 싶은 일화들이나, 미국 땅에서 그날에나 오늘에도 수다한 우리 한인의 단면이기에 참고가 될 것으로 사려되어 일별한 것이다.) 여하튼 기록에는 의친왕과 13명의 부인들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이 모두 21명이요 그 중 7명이 사망하고 14명이  생존했으며 4명은 현재 미국에서 이민생활을 하고 있다. 조종무의 조사에 따르면 의친왕의 비공식 집계의  자녀들은 일본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6명, 미국 여인에게서 낳은 2명 등을 합하며 총29명이라 한다.(조종무, 상기서, p.131).

의친왕 이강은 동대학의 김규식과 함께 1901년 6/28-7/7까지 매사추세츠 주 노드필드에서 열리는 학생대회에 참석하기도 하고, 1902년에는 로스엔젤 레스에 들려 그곳에서 동포들의 생활개선운동을 벌리는 도산 안창호에게 후원비를 지원하며 격려하기도 했다. 5년여의 유학생활을 마치고 1906년 귀국하여 한국에 도착할 때 일본의 압제하에 신음하던 백성들은 기대 속에 그를 환영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의 감시하에 권총을 휴대하고 다니던 그는 여전히 술로 세월을 보냈으나 데라우찌 총독을 대면하며 그에게 권총을 들이댈 만큼 깊은 반일감정을 노출하기도 했던 것을 보면 그의 방랑벽 같은 생활은 깊은 속내를 덮기위한 의도적이었던  것같다. 귀국 후 1919년 3.1운동 전후한 그의 행적은 반일구국적인 숨긴 뜻을 점차 더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3.1운동 후 이강은 해외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려 결심했던 것이 사실이었다. ‘대동사건’으로 불리는 이 역사는 1919년 10월 10일  이강이 상해 임시정부로 망명하려다 만주 단동까기 갔다가 일경에 붙잡혀 서울로 압송됨으로 좌절되고 만 사건이다. 이는 상해와 한국을 연결시키기 위해  당시 임정 내무총장 안창호가 고안한 것이었다. 그 일차 ‘조선민족대동단’ 총재 김가진을 상해로 도피하여 임정에 합류하게 한  시도는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그 두번 째의 시도인 이강의 경우는 실패하고 말았다. 탈출 준비과정에서 이강은 해외로의 망명의 뜻이 분명했고 사실 이강은 왕실인들 중에서 국제감각이 가장 출중한 인물이었다. 일찍 1894년에 그는 청일전쟁 종전 후 일본에 보빙대사로 간 일이 있었고 유럽 여러 나라에 특파대사로 방문했었다. 더욱이 1901년부터는 5년여나 미국유학을 하면서 상당한 국제감각을 키웠다.
 

망명이 좌절된 후 의친왕이 임정에 보낸 서신이 1919년 12월 4일자의 중국신문 ‘민국일보’에 실린 내용은 그의 당시의 심중을 아주 잘 보어준다. “나는 차라리 자유 한국의 한 백성이 될지언정 일본 정부의 한 측근이 되기를 원치 않는다는 것을 우리 한인들에게 표시하고, 아울러 한국 임시정부에 참가하여 독립운동에 몸바치기를 원한다”고 하며 자신이 탈출하여 온 반일구국의 목적을 분명하게 밝혔다. 1920년 창설한 지방선전부가 안창호가 주도하고 이강이 동의한 바로 그것으로 국내에 대한 각종 정보 활동을 총활하는 일종의 임정의 정보기구였다.

1920년 항일단체 대동단의 김가진 등과 의논하며 작성한 다음의 ‘독립선서’는 일제의 억압하에서 고뇌하는 한민족의 기상을 아주 잘 표현한  듯하다: “일본이 매국 대신들을 이용하여 우리나라를 합병하고 내 부왕과 모후를 살해한 것이오, 결코 부왕께서 병합을 공허하신 게 아니다. 나는 한국인의 1인인즉 차라리 독립된 한국의 한 서민이 될지언정 일본의 황족되기를 불원하는 바이니 임시정부가 설립된 당지에 가서 공복을 위해 만의 일이라도 보조하려 한다. 이 결심은 오직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함과 조국의 독립 및 세계의 평화를 위함에서이다.”(이홍직 편, 한국사 대사전 상, 교육도서. P.1264-65). 구미 여러 나라들을 방문하고 미국에서 5년이나 유학하며 쌓았던 이강에게 잔학한 일제의 침략이나 무력화된 한말의 조국운명은 무거운 압박감을 주었고, 다른 한편 그의 깊은 중심에는 임정과 함께 해외에서나마 반일구국을 위해 최선을 다해보려는 결의도 꽤 컸던 것으로 보인다. 
 
 
  • 도배방지 이미지